연속기획
윤석열 대통령은 제78주년 경찰의 날 기념식(2023. 10. 18.)에서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 국가의 첫 번째 존재 이유”라고 강조하였다. 이어 성폭력, 아동학대, 가정폭력, 스토킹과 같이 사회적 약자를 상대로 하는 범죄는 절대 용납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지난여름은 ‘안전’이라는 단어가 유독 빈번히 보이던 계절이었다. 특정 계절에 가끔 발생하는 위협으로 여겨졌던 자연재해는 최근 들어 더욱 빈번해지고 그 피해도 커지고 있다. 오송 지하차도 참사는 우리에게 많은 숙제를 남겼다. 이밖에 자연재해와 사회재난의 영역을 넘어 새로운 위협에 직면했었다. 연이어 발생한 이상동기 범죄(묻지마 범죄)는 우리 사회에 새로운 화두를 던졌다.
<특별좌담>에서는 갈수록 복잡·다양화되는 재난에 대해 국책연, 학계, 언론의 전문가가 모여 안전사회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해법을 모색해보았다. 이 외에도 전재해접근법(all hazards approach) 관점에서의 포괄적 재난 대응,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국책연구기관의 노력을 살펴보았다. 안전사회 대한민국을 위해 사후적 재난관리 방식에서 벗어나 선제적 예방을 하려면 어떤 것을 준비해야 할지 알아본다
<연속기획 “99년 연구회 체제”를 넘어>는 2022년 겨울호(통권 제35호) ‘싱크탱크와 국제협력’을 시작으로 2023년 봄호(통권 제36호) ‘싱크탱크와 지역 협업’, 2023년 여름호(통권 제37호) ‘싱크탱크와 디지털 전환’을 통해 국책연구기관과 싱크탱크가 앞으로 추구해야 할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호 ‘싱크탱크와 인재 양성’은 <연속기획 “99년 연구회 체제”를 넘어>의 네 번째 시리즈로 국책연구기관의 인재 유치 전략을 알아본다. 인재를 얼마나 잘 확보·유지하느냐는 전통적으로 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이슈였지만, 더이상 기업에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결국 국가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그 중심에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의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 국책연구기관은 어떤 인재 유치 전략을 갖춰야 하는지 살펴본다. 우수한 정책연구자들을 영입하여 정책연구 현장에서 성장시키고, 사회적 수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도적 지원방안을 모색하며, 퇴직 이후에도 국가정책에 기여할 고경력 인적자원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제도와 시스템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
연속기획 대학에서 싱크탱크까지 이어지는 ‘인재 양성’‘한국판 미네르바 스쿨’을 표방하는 태재대학교의 교육 혁신 실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태재대학교는 한샘 창업주인 조창걸 명예회장이 사재 3,000억 원을 들여 설립한 대학으로 염재호 전 고려대학교 총장이 초대 총장을 맡았다. 캠퍼스 없이 세계 각국을 돌며 온라인 수업을 받는 교육방식에 따라 학생들은 글로벌 현장 감각을 키우고 실천적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키우게 된다. 이처럼 차별화된 교육으로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태재대학교의 교육목표다. 태재대학교의 교육방식과 인재상은 염재호 총장의 교육철학과도 맥이 닿아 있다. 형식지(形式知)와 같은 지식 주입에 초점을 맞췄던 20세기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이 갖지 못한 나만의 지식, 즉 암묵지(暗默知)를 바탕으로 주체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인재를 키워내야 한다는 것이 그의 교육철학이다. 평생 혁신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교육 개혁과 인재 양성에 힘써 온 염 총장은 싱크탱크의 사회적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서도 남다른 식견을 지녔다. 글로벌 경쟁 시대에 맞춰 새로운 도전에 나선 염 총장을 만나 태재대학교의 교육 실험과 의미, 싱크탱크의 핵심 인재 육성 방안을 짚어봤다. 이번 인터뷰는 9월 14일 태재대학교에서 홍일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사무총장의 진행으로 이뤄졌다. 싱크탱크의 힘이 경쟁력을 좌우 홍일표 사무총장(이하 홍일표) 훌륭한 연구자를 양성하고 그들이 활약할 수 있도록 역할을 하는 곳은 싱크탱크, 특히 국책연구기관이 해야 할 일이며, 그 출발은 대학이어야 한다고 본다. 평생 대학에서 연구자이자 교육자로서의 삶을 살아오셨고, 고려대학교 총장 시절부터 혁신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대학교육 개혁, 인재 양성을 위한 새로운 시도에 힘쓰신 것으로 알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올해 신설된 태재대학교 총장을 맡아 평생의 지론을 현실화하기 위한 새로운 여정을 시작하게 됐다. 태재대학교에서 어떤 실험과 도전을 하려 하는지, 어떤 취지에서 이런 도전을 시작하게 됐는지, 그 배경이 무엇인지 말씀을 듣고 싶다. 염재호 태재대학교 총장(이하 염재호) 고려대학교 총장 시절부터 우리의 고등교육이 이대로는 안 된다, 미래지향적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현 고등교육 시스템은 20세기 대량생산 체제에 맞춰 만들어졌기 때문에 지식을 잘게 쪼개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졌다. 하지만 21세기에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객관적인 지식보다는 다른 사람이 갖지 못한 나만의 지식, 즉 암묵지를 지닌 인재를 키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 디지털 혁명에 의해 인류 문명사가 바뀌고 있는 만큼 새로운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20세기 말까지는 학부 중심의 전공 교육이 중요했지만 21세기로 접어들면서 학부에선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탄탄한 기초체력을 갖추고 심화 교육은 대학원이 담당하는 체제로 변모했다. 태재대학교는 첨단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활용한 액티브 러닝(active learning)이나 토론식 수업 등을 통해 경쟁력 있는 인재를 키워내려 한다. 또한 조창걸 이사장님의 경우 21세기 들어 문명사의 중심이 서양에서 동양으로 이동하고 있고 지금처럼 국가 간 갈등이 심화하는 국면에서 국제 정세를 이해할 수 있는 리더를 키워야 한다고 보는 입장이다. 이런 관점에서 태재대학교는 세계 인재, 미래 인재, 자기혁신 인재 3가지 인재상을 추구한다. 다수를 먹여 살리는 소수의 인재를 잘 키워놓지 않으면 사회 전체의 영속성이 사라진다고 본다.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그러한 소수의 인재를 길러내겠다는 관점으로 태재대학교의 문을 열게 됐다. 싱크탱크의 중요성도 간과할 수 없다. 지식사회로 가게 되면 결국 싱크탱크의 힘이 그 나라의 경쟁력을 좌우하게 된다. 지금처럼 국제 정세가 복잡하게 돌아가는 국면에서는 그 흐름을 읽는 눈이 있어야 문제가 발생할 때 빨리 해법을 찾을 수 있고 이는 결국 국가의 생존과도 직결된다. 그런 측면에서 싱크탱크의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며, 우리 사회의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한 축이 될 것이다. 학생들이 학교를 졸업하면 대학원 진학이든 기업 입사든 다양한 진로를 꿈꿀 텐데 싱크탱크 쪽에 가고 싶어 하는 학생들에 대해서도 적극 지원하려 하고 있다. 홍일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사무총장(왼쪽), 염재호 태재대학교 총장(오른쪽) 인재 확보 위한 선순환 구조 확립해야 홍일표 한국의 경우 다른 선진국에 비해 싱크탱크 전체로 보면 미약한 측면이 있고 국책연구기관보다 대학을 선호하는 기류가 여전히 좀 더 강하다. 그렇다 보니 정책연구의 기회를 갖고자 하는 수요가 약한 것 같다. 그런 상황에서 태재대학교가 싱크탱크를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하길 바란다는 말씀이 반갑기도 하고 놀랍기도 하다. 홍일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사무총장 염재호 태재대학교의 특징 중 하나가 졸업 후에도 장학금을 주도록 한다는 것이다. 싱크탱크에 인턴으로 간다고 하면 생활면에서 힘든 부분이 많기 때문에 어느 정도 지원이 필요하다. 사실 개인적으로 오랜 기간 싱크탱크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많이 했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재 육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미국의 경우 ‘섀도 캐비닛(shadow cabinet, 예비내각)’이라 해서 중요한 정책들에 대한 점검이 사전에 이뤄지는데 우리나라는 대선 때만 되면 단기간에 정제되지 않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공약을 만들어내는 문제가 반복된다. 독일도 각 정당마다 뛰어난 싱크탱크를 가지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그런 부분이 미흡하다. 결국 소프트 파워 측면의 생태계가 중요한데 아직 그런 부분에 대한 투자가 약하다. 특히 인문사회 분야의 경우 5년, 10년 길게 보는 연구 지원이 필요한데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1년 단위로 돌아가고 연구를 하려는 사람들도 줄어드는 추세다. 싱크탱크와 인재에 대한 생각이 바뀌어야 한다. 그런 관점에서 연구자들이 꾸준히 공부하고 창의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홍일표 최근 정부의 R&D 예산이 크게 줄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과학기술계와 액수는 비교도 안 되지만 경제·인문사회 분야도 많이 줄었다. 한편으로 ‘예산이 줄지 않고 변함없이 나아간다면 과연 괜찮은 것인가’ 하는 의문을 던져볼 수 있을 것 같다. 연구회가 출범한 지 25년이 됐는데 애초의 출범 취지와 미션을 고려하면 그만큼 효과가 있었는지, 현 체제가 여전히 유효한지 자문하게 된다. 국책연구기관의 역할은 과연 무엇이며, 좋은 인재를 모으고 키우기 위해 어떤 노력과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시는지 궁금하다. 염재호 우리나라의 R&D, 특히 과학기술 분야를 보면 곧 제품이 나올 만한 기술 분야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런 부분은 기업이 훨씬 더 잘한다. 국가 R&D는 기초연구에 투자를 많이 해야 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 자문위원도 한 바 있지만 소수의 잘하는 사람에게 연구비를 밀어줄 것이 아니라 기초연구에 투자를 많이 해야 한다. 기초과학연구원의 한 해 예산 정도면 전국 우수 10개 대학의 상당수 이과계열 학생들에게 등록금 지원을 해줄 수 있다. 국책연구기관들도 매번 비슷하게 주장을 늘어놓는 포지션 페이퍼(position paper)를 낼 게 아니라 기초연구를 통해 데이터를 축적해두면 그 자체로 큰 힘이 될 텐데 그런 점이 미흡하지 않나 싶다. 연구자들에 대한 처우 개선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지금 연구 현장 종사자들의 처우는 용역 노동자, 프로젝트 노동자 수준으로 열악한데 그렇게 하면 안 된다. 필요하다면 용역 프로젝트 위주로 하는 기관을 따로 두더라도 스스로 하고 싶은 연구를 할 수 있게 해주는 인문학적인 연구소가 많아져야 한다고 본다. 예전에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에 유학을 갔을 때, 스탠퍼드대학교 출신 교수와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 그분이 교수를 그만두고 대표적인 민간 싱크탱크인 브루킹스연구소에 간다고 해서 이유를 물어봤더니, 학교에 잡일이 많아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는 곳으로 가고 싶었다고 얘기했다. 우리도 그러한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우리의 현실을 보면 지역대학들은 사라지는 추세이고 인문사회계열 대학원은 미달인 곳이 많다. 비전이 없기 때문이다. 국가 차원에서 지원을 해줘야 하는데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고 있어 학문·지식 생태계의 붕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를 막기 위해 싱크탱크가 인재를 흡수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무엇보다 인재를 용역 노동자화하지 않고 연구자가 주체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주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변화하는 시대에 걸맞은 싱크탱크의 역할 홍일표 문제는 인재 양성과 확보 문제를 정부나 국책연구기관 차원에서만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국내 정책지식 생태계의 현실을 보면 시민단체형 싱크탱크의 역할은 미약하고, 기존의 기업 연구소들도 인하우스 역할에 집중하게 되면서 과거 대비 크게 약화됐다. 그런 가운데 최근 최종현학술원이나 태재미래전략연구원, 아산정책연구원 등이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한국의 정책지식 생태계에서 이러한 기관들의 시도가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시는지, 국책연구기관들과 어떤 식의 협업 관계를 만들어가는 것이 좋다고 보시는지 제언 부탁드린다. 염재호 기업들이 이익 창출에 전념하느라 상대적으로 기업연구소를 통해 사회적 담론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소홀히 하게 된 것 같다. 삼성경제연구소(현 삼성글로벌리서치)도 그 역할을 계속해줬다면 좋았을 텐데 그러지 못했다는 점이 무척 안타깝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도 25주년을 맞았으니 앞으로 부처에 종속되는 체제보다는 중장기 연구를 하는 파트의 비중을 절반 이상 두고 나머지는 부처를 지원하는 식으로 방향 설정을 하는 편이 어떨까 싶다. 민간 부문에서도 싱크탱크의 역량을 키워야 할 필요가 있다. 싱크탱크가 중요한 이유는 사회문제에 대한 정책 디자인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워낙 즉흥적으로 빨리 일을 처리하려다 보니 제대로 문제 해결을 못 하는 경우가 많다. 코로나19 사태 때 영세 상인들이 타격을 많이 받았는데 정부에선 전체 국민에게 지원금을 나눠줬다. 그랬더니 젊은 층은 주식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았다. 캐나다의 경우 영세 상인들이 전년도에 낸 세금을 바탕으로 매출을 역산해 이를 지원해줬다. 우리보다 예산을 적게 쓰고도 큰 효과를 본 것이다. 즉 싱크탱크는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그에 대해 조사하고 보고서 쓰는 데 집중할 게 아니라 창의적인 정책을 디자인하고 장기적인 연구를 하는 데 열중해야 한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국제 정세에 따라 세계 경제와 금융 시스템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위기가 나타났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연구해야지, 남이 했던 연구를 카피해 보고서를 만드는 데 그쳐선 안 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싱크탱크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싱크탱크가 인재들이 가고 싶어 하는 매력적인 곳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홍일표 국책연구기관의 경우 재정적인 어려움을 넘어 연구 역량을 펼치는 데 있어 구조적인 한계가 존재하는 것 같다. 이러한 한계 극복을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나. 염재호 한국처럼 빨리 성장한 나라는 지속해서 리디자인(redesign)을 해나가야 하는데 관성 때문에 어려운 측면이 있다. 결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같은 상위 조직들이 싱크탱크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고민을 계속하면서 새롭게 혁신해나가야 할 때가 아닌가, 특히 과학기술계를 중심으로 ‘카르텔’ 논란이 불거지는 이때 변화의 가능성을 고민해봐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 정부의 투자가 항상 100%의 효율을 낼 순 없다. 30% 정도는 노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어느 정도 참아주면서 미래지향적인 연구가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운영해야지 지나치게 관료적으로 운영하려 해선 안 된다. 우리나라도 이제 세계 10대 경제 대국이 됐고 그동안 축적한 경험과 노하우가 많은 만큼 정부 R&D 측면의 리디자인이 필요한 때가 아닌가 싶다. 인재 양성 위한 교육 패러다임 전환 앞장설 것 홍일표 싱크탱크, 특히 한국의 국책연구기관이 제대로 역할을 수행하려면 무엇보다 그에 걸맞은 인재의 발굴, 육성, 지원, 활용이 가장 중요하다. 태재대학교에서 초빙한 교수들에 대해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로서 역할을 주문하고 기대하시는 것으로 알고 있다. 또한 일반 대학과 달리 파격적인 조건으로 교수들을 초빙할 만큼 인재 영입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이러한 실험과 도전을 통해 이뤄내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 듣고 싶다. 염재호 우리 연구기관들의 문제점 중 하나가 관료화로 인해 운영이 경직돼 있다는 점이다. 연구·운영비도 묶음예산(lump-sum)으로 지원하면 좋겠지만 대개 항목이 정해져 있어 자체적으로 아이디어를 내 자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여지가 없다. 그런 면에서 보면 태재대학교는 예산을 굉장히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구조로 돼 있다. 쓰고 싶은 분야에 예산을 집중하면 효과가 높게 나타나고 큰돈이 아니어도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재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모든 책이 전자책(e-book)인 디지털 라이브러리로 운영된다. 일반 대학 예산의 50분의 1만으로도 도서관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다. 물리적인 책을 구입해 정리하고, 빌려주고, 반납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이런 식으로 효율성의 측면을 고민해봐야 할 때가 아닌가 한다. 인재 양성 패러다임도 바뀌어야 한다. 예를 들어 100 정도 되는 학생들을 110이 되게 하는 방식과 70 정도 수준의 학생을 200으로 만들어주는 방식을 놓고 보면 굉장히 다른 얘기다. 태재대학교에는 학생들에게 맞춤형 지원을 하는 전문 지원 조직이 많다. 학생들에게 충분한 지원을 제공하면 300퍼센트 정도 성장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인재 양성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또한 우리가 만들려는 모델을 통해 다른 곳에도 영향을 끼쳤으면 하는 바람도 있다. 싱크탱크도 차별화 지점을 고민하고 아이디어를 내기 시작하면 분명히 바뀔 점들이 많을 텐데 그런 시도를 잘 안 한다. 세상이 지속적으로 바뀌고 있고, 이러한 자극이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는 것이다. 조금 더 유연하고 효율적인 조직들이 많이 나와 경직된 구조에 균열을 내줬으면 하는 소망이 있다. 소수의 사람이 기존의 대학을 흔들고 바꾸려 하면 저항에 부딪히기 쉽다. 반면 태재대학교는 이제 시작하는 단계에서 여러 실험을 할 수 있는 만큼 한국 사회에서 새로운 인재를 키워내는 전환점을 만들어볼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 염재호 태재대학교 총장 홍일표 앞으로 4년 후에는 첫 졸업생이 나올 텐데 그 학생들이 어떤 분야를 가든 충분히 제 역할을 해낼 것이라는 기대감이 든다. 또한 태재대학교의 실험과 도전이 사회적으로 변화를 가져오려는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어떤 방식으로든 영향을 끼치리라 생각된다. 이와 함께 인재 육성을 위한 싱크탱크의 역할과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생각할 거리를 제공해주신 것 같다. 바쁘신 와중에도 인터뷰에 응해주신 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인터뷰> 염재호태재대학교 총장 2023 가을호
-
연속기획 ‘이중전환 시대’ 국책연구기관의 연구인력 관리다양한 디지털 기술의 도입과 확산 특히 플랫폼 경제,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생성형 인공지능의 적용 등이 삶과 일하는 방식, 그리고 일자리를 바꾸고 있다. 그 변화가 어디에 얼마나 미칠지 가늠하기도 쉽지 않다. 급속한 저출산·고령화로 왕성하게 일할 수 있는 20~40대 인력이 감소하고 있는 반면, 고령자 비중이 크게 증가하여 노인부양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노동시장에서는 원·하청 간 격차, 정규·비정규직 간, 남녀 간의 심각한 구조적 격차와 플랫폼 노동, 특수고용직, 초단시간 고용의 증가로 분절구조가 더욱 복잡하고, 다층화되고 있다. 지역에서는 경제·교육·문화적 격차로 인해 수도권 집중이 심화하면서 점진적 ‘지역고사’나 ‘지역소멸’이 현실화되고 있다. 우리나라가 처한 국내외 전환적 환경변화, 사회경제적 격차구조의 심화, 복잡화에 따른 새로운 도전을 맞아서 국책연구기관들은 기존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연구과제를 안게 되었다. 과거와는 달리 융합적인 지식과 학제적 연구가 점점 더 요구되고 있다. 국책연구기관이 직면한 도전적 과제 현재 국책연구기관들은 이런 도전적 과제를 감당할 수 있는 체제나 준비가 되어 있는가? 국책연구기관은 학술연구를 지향하는 대학과 달리 정책연구와 제도연구 등을 꾸준히 해온 역사를 갖고 있다. 연구기관마다 일정한 정책연구 경험을 축적하고, 국가 연구개발의 핵심적인 축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관련 분야별로 전문성을 갖고 각 분야의 대학교수, 전문가의 연구네트워크에 중심이 되어왔다. 그러나 국책연구원은 연구기획, 연구방향, 정책 과제에 관한 융합적 해법 마련 등에서 연구네트워크의 중심이 되어 이를 이끌어나가야 할 안목과 지적 역량을 갖고 있지 않으면 그 역할을 하기 어렵다. 국책연구원들은 매년 국내외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신규 연구인력을 뽑아서 일정한 훈련과 연구경험을 거쳐서 정책연구자로 키워왔다. 그러나 좋은 학술논문을 썼거나 쓰는 우수한 연구인력들은 몇 년의 국책연구원 경력을 거쳐서 서울 등 대도시의 사립대학이나 국립대학으로 옮겨간다. 때로는 국책연구기관이 정거장이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을 정도이다. 이것은 국내대학들의 정년이 65세인 데 비해 국책연구원의 정년은 60세(일부는 61세)이며, 정년 이후 2년간의 계속 고용을 하는 경우에도 63세면 연구원을 떠나야 한다. 더구나 대학이 지급하는 좋은 연금에 비해, 정년 이후 국민연금을 받는 국책연구원 연구진의 연금 수준은 그 격차가 매우 크다. 이런 점에서 국책연구원이 우수한 연구인력을 붙잡아둘 유인이 부족하여 대학에 연구 역량과 경험이 풍부한 인력을 빼앗기고 있다. 우수 연구인력을 위해 연구환경 개선해야 시대 전환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수한 연구인력을 끌어들이고 일단 채용된 연구인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책연구원들이 좋은 연구 분위기와 조건, 공정하고 우수한 연구를 높게 평가하는 제도 아래에서 일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연구환경 조성과 사기 제고, 연구과제 관리와 연구보고서 우수성 평가 등을 강화하거나 보완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박사급 연구자들이 국내외 연구를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상호 새로운 방법론을 소개하는 등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도록 국내외 세미나 개최와 학술대회 발표 독려, 연구결과 상호발표와 코멘트 등의 연구 분위기를 살리는 일도 중요하다. 연구보고서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책 과제 수를 여러 개 수행하여 성과를 내는 방식보다는 과제 수를 일정 수 이하로 제한하되 우수한 보고서에 더욱 점수를 높여주는 방식으로 평가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는 각 부처에서 각 연구기관에 발주하는 정책 과제 수가 많고 이를 상당 부분 수행해주기를 기대하는 분위기 속에서 시행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나 정부와 국책연구기관이 협조하여 해결할 문제이다. 우수한 연구자들을 선발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처우를 개선하여 대학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 연구 능력이 우수한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63세 이후에도 퇴직 후 계약직으로 고용연장을 하는 방식과 정년을 단계적으로 연장하는 방식을 결합하거나 병행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과학기술계 연구기관들이 시도하는 바와 같이 공제회 등을 만들어 국민연금에 의존하고 있는 현재의 노후보장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 국책연구원들이 박사 연구자들의 연봉제를 도입했으나 여전히 연공적 임금체계가 연봉제 속에 남아 있다. 국책연구원의 젊은 박사들이 일부 선임연구위원들이 연구는 제대로 하지 않고 높은 연봉을 받는 점을 훨씬 비판적으로 보고 있다. 연공적 임금체계의 연구경험과 정책지식의 축적을 인정하는 좋은 점을 살리되 연공이 성과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성과제도를 적절하게 결합하여 임금체계를 짤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나친 개인별 성과주의는 정책연구에서 반드시 필요한 협동연구를 어렵게 하고 연구자들의 상호협력을 방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운영의 묘를 살릴 필요가 있다. 퇴직연구자들의 새로운 활로를 찾아 박사급 연구자들이 국책연구원에서 쌓은 많은 정책연구경험들이 퇴직과 함께 사장되는 안타까운 일이 벌어지고 있다. 국책연구원에서 퇴직한 박사 인력들 가운데 연구 능력과 의지가 있는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국책연구원의 현직 박사들을 도와 연구에 공동연구자로 참여하거나, 대학에서 겸임교수나 강사로 대학생들을 가르칠 수도 있다. 또한 퇴직연구자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연구소를 만들어 중소기업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연구에 참여하고 기여할 수도 있다. 퇴직연구자들 가운데 전자의 역할을 하는 분들이 적지 않으나 후자의 역할을 하는 분들은 매우 적은 것 같다. 아직은 퇴직연구자들이 많지 않으나 향후에 퇴직자들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시도를 통해 새로운 연구와 활동영역을 개척해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퇴직연구자들이 생산적인 연구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그리고 국책연구기관들이 도와야 한다. 퇴직연구자들이 모범적인 연구와 활동을 보일 때 후배 연구자들도 대학교수들에 견줄 수 있는 연구자로서의 생애 경로를 그리면서 미리 걱정을 덜고 현재 국책연구원에서의 연구 활동에 더욱 매진할 수 있을 것이다.배규식前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2023 가을호
-
연속기획 인적자원 보유고인 국책연구기관이 내는 경고음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기관으로 ‘국책연구기관’으로 불리는 정부 지원 정책연구기관들은 우리나라의 대표 싱크탱크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60년 동안 유례없는 성장 궤적을 밟아왔고, 정부는 국책연구기관들을 설립하여 경제사회의 근간이 되는 시스템과 제도를 설계해왔다. 국책연구기관들은 국가 발전 비전과 계획을 수립하면서 정책의제를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전문가뿐만 아니라 각계각층의 의견수렴을 통해 정책형성을 지원하는 역할 등 포괄적인 정책 퍼실리테이터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정책연구 생태계 변화와 ‘인적자원의 보유고’ 국책연구기관 연구자들은 오랫동안 경제사회 분야 영역별 연구와 정책 퍼실리테이터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높은 전문성과 국내외 네트워크를 보유한 전문가를 육성한다. 국책연구기관들은 이들의 성장을 지원하고 보유함으로써 국가가 직면하는 여러 문제나 도전에 대응하여 적시적인 진단과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는 ‘인적자원 보유고’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또 국내외 전문가들과의 협력·교류를 이어감으로써 네트워크의 거점 역할을 수행해왔다. 한편 위촉연구원 제도를 통해서 경제사회 분야 석박사 학생과 학위자들이 실제적인 문제를 다루는 교육훈련의 장으로서 해야 할 역할도 수행해왔다. 1999년 연구회 체제 출범 이후 현재까지 국책연구기관들은 예산과 인력 규모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정책연구 생태계도 크게 변화하여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국가 싱크탱크로서의 국책연구기관의 위상과 역할이 상대적으로 약화된 상태로 평가한다. 국책연구기관들이 국무총리 산하로 이전한 이후, 각 부처는 정책집행 및 기획을 전담하는 진흥원 조직을 설립하였고 이들이 정책기획 기능도 수행함에 따라 국책연구기관들의 직접적인 부처 현안에 대한 기능은 약화된 측면이 있다. 또 민간 컨설팅 기업이 증가하였고, 이들이 정부 및 공공부문의 여러 조사 및 사업기획 및 정책 방안 수립에 참여하는 경우도 크게 증가하였다. 국책연구기관들은 국무총리 산하 연구회 체제로의 전환을 통해 국가 차원의 싱크탱크로서 수행할 것을 요구받았으나, 관련 역할 수행에 필요한 여건이 갖춰지지 못해 오히려 역할이 위축되는 상황이 초래된 것이다. 인력 측면에서도 연구직의 이탈과 신규 인력의 확보가 어려워졌다. 2013~2014년 지역으로 이전, 상대적 임금 저하, 예산구조에 따른 연구 안정성 저하로 이제는 초기 출연기관 설립으로 가졌던 유인책들이 소멸한 상태이다. 더불어 연구연가, 해외 출장 제약 등 전문성 심화 여건이 악화되었고, 부처 사업 관련 예산이 증가하면서 국가 정책시스템의 기획 전문가 양성 역할 역시 위축되고 있다. 정규직 전환 정책 이후 연구자들의 풀 형성·유지와 예비 연구자들의 교육훈련의 기능 역시 거의 소멸한 상태이다. 국책연구기관의 기대 역할 확대되어야 인구구조 변화,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미·중 패권 경쟁 등 환경변화로 새로운 국가 차원의 전략과 통합적 대응시스템의 구축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응하여 국내외 경제사회 및 기술 관련 정책 지식의 저변 확보가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국책연구기관의 국가적인 통합적 시각, 새로운 정책시스템 설계를 위한 진단과 의제 발굴 역할, 그리고 위기에 대응한 고도의 역량을 갖춘 전문가 그룹을 보유·연계하는 거점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 불확실성과 위기의식이 확대됨에 따라 민간연구소들의 국가적인 기능이 크게 위축되어 이러한 역할은 거의 국책연구기관의 몫으로 기대된다. 우수 인력을 채용·보유하고 지속적인 성장 지원을 통해 국가적 난제 해결에 부합하는 역량을 보유하도록 육성해야 한다. 한편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경제사회 분야 연구의 투자 감소, 대학의 위축 등으로 경제사회 분야 석박사 양성이 위축된 가운데 경제사회 연구의 교육훈련 기능 및 안정적인 경제사회 분야 박사급 인력의 일자리로서의 의미도 커지고 있다. 경제·인문사회계 및 과학기술계 출연기관, 대학의 여건 비교 경제·인문사회계 및 과학기술계 출연기관,대학의 여건 비교 구분 경제·인문사회계 출연연구기관 과학기술계 출연연구기관 대학 우수연구원제도 없음 10% 명예교수 교육기능 외부강의 외부강의 + 과학기술연합 대학원대학교(UST) 본업 차세대 인재 없음 박사대학원 대학교연구원 박사후연구원 정년 60세 61세 65세 연금 국민연금 국민연금+과학기술인연금 공무원연금(사학연금) * 일부 국책연구기관은 과학기술인공제회 가입(과학기술인연금 가입 가능하나, 과학기술발전장려금 제외) 우수인재 확보·유지를 위한 개선 정책시스템 설계자로서 국책연구자를 육성·보유하기 위해서는 국책연구기관의 운영방식과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 가장 우선적인 과제는 연구자들의 역할에 부합하는 전 생애 인적자원관리 개념과 경력경로 개념을 정립하여, 중장기적 시계를 가진 연구자의 성장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연구자를 육성하는 과정은 새로운 역할에 부합하는 과제의 수행과 네트워크 확보 기회를 제공하는 것과 연결된다. 전문가는 교육훈련보다는 잘 관리된 경험의 누적과 네트워킹을 통해서 성장하기 때문이다. 최근 국책연구기관들의 핵심 역할과 중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맞춰 기관 운영과 성과를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개편 과정에서 기관의 운영성과 자체뿐만 아니라 이러한 변화가 연구자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설계되고 기관의 운영과정에서 연구자들이 우수 연구자로서 성장하는 것을 평가하는 작업도 병행되어야 한다. 한편 연구자들이 전문성 심화 및 네트워킹 확보를 위해 필요한 활동들을 수행할 수 있는 여건들을 개선해야 한다. 해외 출장 제약, 연구수행 과정에 대한 세밀한 규제의 제거 등 사소한 작업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새로운 경제사회 분야 연구자 풀을 확보해 유지하기 위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으로 인해 제한되었던 신규 인력 지원을 보강하기 위해 경제·인문사회 분야 박사후연구원(PostDoc)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과학기술계는 2016년부터 박사후연구원 제도를 도입, 박사 학위 취득 후 5년 이내인 사람에 대해 연 최대 6천만 원, 최대 2년 지원하고 있다.엄미정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재정책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 2023 가을호
-
연속기획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대학이 함께 찾는 인재 양성의 길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에 속한 연구자들과 학문 공동체의 건강하고도 생산적인 관계 맺음을 위하여 몇 가지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일차적으로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주관하는 문과 쪽 상황을 염두에 두고 있으나,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주관하는 이공학 쪽이나 중앙 및 지방정부의 연구기관 연구자들에게도 의미하는 바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미시적 차원과 거시적 차원을 오가는 단편적이고 두서없는 아이디어들이지만, 현시점에서 반드시 제기되어야 할 논점인 듯하여 용기를 내본다. 독특한 개별성과 출연연의 역할 먼저 확인해 두고 싶은 점은 학문 공동체에 존재하는 독특한 개별성(individuality)의 문제이다. 학문은 본질적으로 공공적 담론이며 따라서 어떤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서도 절대 독점될 수 없다. 하지만 이러한 공공성은 오로지 학자의 이성과 양심을 통해서만 발생하고 구현된다. 학문의 세계가 양심의 영역으로서 정치·행정·경제·종교의 세계로부터 확연하게 분리되는 이유이다. 학자 역시 이성과 양심의 요청 앞에 부끄러울 수 있고, 학문 공동체 또한 다른 사회적 힘의 영향 아래 놓이기도 하지만, 이를 넘어서는 유일한 방법은 학자 개개인이 다시 자신의 이성과 양심을 일깨워 학문 공동체의 자율성을 확보하는 것뿐이다. 법률에 따라 설립 목적이 정해지고, 수행해야 할 연구과제들이 주어져 있으며, 시대변화에 맞추어 정부 국정과제에 부응해야 하는 출연연의 현실에서 이와 같은 학문성의 요청, 특히 그 본질에서 우러나는 독특한 개별성의 요청은 상당 수준의 긴장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출연연의 연구자들은 본래 학문 공동체의 구성원이므로 이러한 긴장은 이례적이라기보다는 도리어 본질적인 것으로 보아야 한다. 출연연은 국가 관료제와 학문 공동체의 경계선에 위치할 수밖에 없고, 그 소속 연구자들은 2개의 다른 세계에 동시에 속한 이중 신분을 감내해야 하기 때문이다. 문제의 핵심은 긴장 관계 또는 이중 신분을 어떻게 바르게 활용하여 출연연과 학문 공동체 사이에 건강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느냐이다. 각 연구자에게 학자로서의 고유한 관점이나 이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도적으로 확보해야 한다. 출연연의 연구는 대체로 프로젝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프로젝트의 목표는 정부의 장단기 정책 수립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그 결과는 연구보고서 형태로 산출된다. 정책연구의 성격상 이와 같은 포맷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으나, 결정적인 문제는 이로부터 이론적 축적과 발전을 도모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고, 연구의 양적 확대를 이론적 성숙으로 연결하려면, 개별 연구자들이 수행한 연구 프로젝트의 가설·방법·결과·영향 등을 관련된 다른 연구들과 비교·분석·종합하여 일관된 이론적 관점으로 승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적어도 3~4년에 한 번 정도는 개별 연구자들이 소논문 등을 통해 특정 분야의 연구 전체를 검토·평가하고 자신의 이론적 입장을 개진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출연연에 20년 넘게 근무하면서 수많은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한 연구자는 이론적 성숙을 위한 경험 자료들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 이들이 특정 분야의 전문가로서만이 아니라 이론적 권위자로서도 성장하여 국가와 사회에 공헌할 수 있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 경제·인문사회 분야도 UST를 벤치마킹해야 출연연의 연구시설 및 연구 수행과정을 활용하여 연구자들이 학문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학문 후속세대 양성에 직접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출연연의 연구는 사전 조사에서부터 기획, 자료 수집, 분석, 보고서 작성 및 검토, 정책반영, 사후 평가에 이르기까지 매우 섬세한 절차와 과정으로 진행된다. 흥미로운 것은 이 과정이 그대로 학문 후속세대의 체계적인 양성을 위한 실무 훈련과정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주목하여 이공학 쪽에서는 오랫동안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을 발전시켜왔고, 20년 전부터 32개 국가연구소 연구자들이 대학원생들의 교육에 참여하는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UST)를 설립·운영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출연연들은 연구시설 및 연구과정을 교육에 활용할 만한 제도를 갖추지 못한 상태다. KDI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가 운영되고 있으나 연구 분야의 포괄성이나 다른 출연연 연구자들의 교육 참여 등에 있어서 UST와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다. UST의 사례는 융복합 분야의 연구자 양성 및 수급의 원활성을 기하고 연구기관들 사이의 학문적 교류를 증진하는 관점에서 반드시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융복합적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학문 공동체와 출연연들의 관계 조율에 있어서 경제·인문사회연구회와 연구지원 관련 정부 조직의 거버넌스를 재고하는 것이다. 현재의 법령은 과학기술분야 출연연들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국가과학기술연구회-각 연구기관의 축으로, 경제, 인문사회 분야 출연연들을 국무총리-경제·인문사회연구회-각 연구기관의 축으로 조직하고 있다. 이중적 거버넌스는 이공학 분야의 특수성을 고려해 온 역사적 경로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4차산업혁명 및 메타버스 시대에 펼쳐질 융복합 분야의 연구경쟁력을 높이려면 비(非)이공학 분야에 관해서도 연구지원의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예컨대 국무총리 산하에 차관급 부처로 국가연구지원처급의 부처를 신설하여 연구지원을 전담케 하고 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국가 관료제, 출연연, 학문 공동체 사이에서 정책적 조율을 담당하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언젠가 닥칠 정부조직 개편의 기회를 살리려면 미리 준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제기하고 싶은 점은 3가지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과연 누가 귀담아듣고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하느냐는 것이다. 특히 당연직 법정 이사인 각 부처의 차관들과 실질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고위 공무원들의 역할은 학문 공동체를 대표하는 선임직 이사들의 역할만큼 중요하다. 출연연에 속한 연구자들이 본래 학문 공동체의 구성원임을 잊지 말고 학자의 긍지를 살리고 자존심을 지킬 수 있도록 세심하게 배려하는 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이국운한동대학교 법학부 교수, 前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 2023 가을호
-
연속기획 싱크탱커를 위한 학교OTT(On Think Tanks)에서는 2017년부터 싱크탱커를 위한 학교 ‘School for Thinktankers’를 만들어 싱크탱커들이 자신의 기술을 개발하고 리더십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왔다. 현재 싱크탱크 리더 중 상당수는 평연구원에서부터 시작해 리더가 된 연구자이다. 하지만 싱크탱크 리더가 되려면 단순히 뛰어난 연구 기술만으로는 부족하다. ‘School for Thinktankers’는 싱크탱크에 관한 다양한 지식을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로그램은 1주일간 참가자들이 싱크탱크에서 하는 일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거버넌스 및 관리, 정책 연구, 커뮤니케이션, 기금모금, 재무관리, 모니터링 평가 및 학습에 대한 인사이트와 전문 지식을 공유한다. 세션이 진행되는 동안 참가자는 강사 및 동료 참가자와 함께 듣고, 도전하고, 활동하고, 계획하고, 토론하면서 각자의 조직과 상황에 맞게 교훈과 경험을 맥락화하게 된다. 싱크탱커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이 과정은 참가자 간, 그리고 참가자와 조력자 간의 학습과 참여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학교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싱크탱크 분야에서 참가자의 기술과 역량을 개발한다. 둘째, 참가자가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고 역량을 강화한다. 셋째, 참가 기간 이후 동료 학습을 위한 글로벌 싱크탱커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넷째, 참가자들이 각자의 조직을 지원하기 위해 배운 내용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도록 영감을 주고 격려한다. 다섯째, 참가자들에게 숙련된 싱크탱커와 분야별 전문가의 안내를 제공한다. 현재와 미래의 싱크탱크 리더들이 이러한 기술을 강화함으로써 더 강력하고 지속가능한 싱크탱크 분야를 구축하는 것이 이 프로그램의 또 다른 목표이다. 2017년부터 4년간은 제네바에서 개최되었으며, 포라우스(Foraus)와 싱크탱크 허브(Think Tank Hub)가 공동 주최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전 세계적인 팬데믹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전환했다. 올해 2023년은 새로운 시작과 개편을 맞이하는 해로, 2년이라는 긴 시간 끝에 벨기에 브뤼셀에서 직접 만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유럽 정책 결정의 중심에 전략적으로 위치하고 정책 입안자 및 기타 관련 행위자들과의 연결을 구축한 브뤼셀에 있는 경제 싱크탱크인 브뤼헐(Bruegel)과 새로운 파트너십을 맺었다. 브뤼헐은 이 분야에서 구축한 전문성과 정책 관련 이해관계자와의 네트워크 및 숙련된 팀의 능력을 공유함으로써 2024년부터 공동으로 주최할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초기 및 중기 경력자부터 고위직과 임원직에 이르기까지 모든 싱크탱커를 위해 설계되었다. 매년 연구원, 커뮤니케이션 및 HR 전문가, 기금모금가, 프로젝트 매니저 등 약 30명의 수강생을 맞이한다. 또한 싱크탱크를 설립하는 데 관심 있는 정책 기업가도 환영한다. 전 세계 50여 개국에서 온 200명 이상의 싱크탱커 및 정책 기업가 커뮤니티에 참여한다. 토론과 성찰의 장2017년 열린 첫 ‘School for Thinktankers’ ‘School for Thinktankers’의 가장 큰 강점은 참가자와 강사진의 다양성, 그리고 해당 분야에 관심도 있는 토론과 성찰이다. 아무리 훌륭한 연구나 정책 제언도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으면 소용이 없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은 항상 잘 이루어져야 한다.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과 자원이 투입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원은 부족하다. 그렇다면 싱크탱크는 기존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 중 어디에서 어떻게 소통할지 선택해야만 하는가? 소셜 미디어라면 어떤 플랫폼이어야 하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달성하고자 하는 영향력에 대해 재고해보아야 한다. 즉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야 한다. 싱크탱크는 어디에 있어야 하는가? 대화가 일어나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 누구에게 도달해야 하는가? 또한 다음과 같은 질문도 고심해야 한다. 젊은 세대와 소통하기 위해 틱톡에 가입해야 하는가? 링크드인에서 활발하고 솔직한 대화를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미디어 관계는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 여기서 중요한 점은 목표를 정의하고, 목표 청중을 정하고, 자원을 관리하는 등 기본적인 커뮤니케이션 원칙을 항상 기억해야 한다는 것이다. 싱크탱크의 영향력 역시 반복적으로 논의되는 주제다. 압력 단체와 달리 싱크탱크는 변화에 관한 명확한 의제를 갖고 있지 않는 경향이 있어 성공 여부를 정의하기가 어렵다. 또한 싱크탱크는 의사결정을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므로 기여도를 측정하기도 어렵다. 영향력을 보여주는 데 있어서 또 다른 어려움은 종종 비공개적으로 진행된다는 점이다. 이는 투명성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조언의 특성상 기밀 유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측정이 어렵다고 해서 이를 측정을 피하는 핑계로 삼는 것이 아니라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 영향력 측정 지표에는 이벤트 참석자 수, 출판 지표, 학술 및 정책 문서의 인용 횟수, 정책 입안자의 추천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한 강사는 “이러한 지표는 기껏해야 대리 지표일 뿐이며 최악의 경우 오해의 소지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영향력은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으로 보는 것이 가장 적절하며 하나의 조직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과 다양한 세력이 작용하여 영향력을 행사해야 한다. 따라서 우리는 공동의 목표와 협력이 필요하다. ‘2024 School for Thinktankers’의 보다 자세한 내용과 등록절차는 http://onthinktanks.org/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The School for Thinktankers Since 2017, the School for Thinktankers has supported thinktankers to develop their skills and prepare for, or strengthen, leadership roles. Many of today’s think tank leaders are researchers who have risen through the ranks. But being a think tank leader requires more than just good research skills, and this programme aims to remedy that. The School for Thinktankers is an intensive one-week programme designed for participants to learn about the many dimensions of working in a think tank. During the School, experienced thinktankers and experts share their insights and expertise in governance and management, policy relevant research, communications, fundraising, financial management, monitoring evaluation and learning. During the sessions, participants will listen, challenge, work, plan and discuss with both trainers and fellow participants to contextualise the lessons and experiences to their own organisations and contexts. By strengthening these skills in current and future think tank leaders The course is designed to maximise learning and engagement between participants, and between participants and facilitators. We aim to: Develop participants’ skills and competencies in core think tank areas, Prepare participants and strengthen them for think tank leadership roles, Create a global community of thinktankers for peer-learning during and after the School, Inspire, motivate, and encourage participants to reflect on how they can use what they have learned to support their organisations, Offer participants guidance from experienced think tankers and topic experts. we aim to build a stronger and more sustainable think tank sector that can help bring about evidence-informed change. The School began in 2017, founded by On Think Tanks1. The first four years were held in Geneva, co-hosted by foraus and the Think Tank Hub. In 2021 and 2022, it moved online during the global pandemic. The year 2023 marked the new beginning and revamping of the School – after two long years, we were able to meet in person in Brussels and we have embarked on a new partnership with Bruegel, an economics think tank based in Brussels, strategically positioned in the heart of European policymaking and with established links to policymakers and other relevant actors, From 2024 onwards the School will be co-organised and hosted by Bruegel, who will contribute by sharing its established expertise in the sector, its network of policy-related stakeholders and the capacity of its experienced teams. The programme is designed for all thinktankers, early and mid-career to senior/ executive roles. Each year, we welcome about 30 students: researchers, communications and human resources professionals, fundraisers and project managers. We also welcome policy entrepreneurs interested in setting up their own think tanks. Previous participants share their experiences at the School. fundraisers and project managers. We also welcome policy entrepreneurs interested in setting up their own think tanks. Previous participants share their experiences at the School. School participants join a community of over 200+ thinktankers and policy entrepreneurs from across all continents and over 50 countries. Reflections Some of the richest aspects of the School of Thinktankers is the diversity of participants and trainers, and the deep discussions and reflections on the sector. Communications is an issue that always attract attention as it doesn’t matter how brilliant a piece of research or a policy recommendation is if it goes unnoticed – so communications need to be well-placed. Although more effort and resources are being placed in communications, resources are still scarce. So, think tanks need to choose where and how they want to engage: traditional media or social media? If social media, what platform? Tik Tok? Instagram? LinkedIn? To answer this, we need to revisit the impact that we want to achieve. We need to ask the following questions: Where should think tanks be? Where are the conversations happening? Who do we need to reach? But we also need to grapple with questions like: Should we join Tik Tok to engage with younger generations? How do we keep an active (and honest) conversation on LinkedIn? How do we manage media relationships? The big takeaway here is to always remember fundamental communications advice: define your objectives, map your audiences and manage your resources. The impact of think tanks is another recurring topic of discussion. Unlike advocacy organisations, think tanks don’t tend to have a clearly defined agenda for change, which makes it trying to define if they have been successful. Also think tanks should help to inform decision-making, not dictate it, which again makes attribution difficult. Another challenge of showing impact, is that sometimes happens behind closed doors. This isn’t because of a lack of transparency but because the nature of the advice needs confidentiality. The difficulty of measurement isn’t an excuse to avoid it, just to contextualise it. Some indicators for measuring impact that we discussed included: event attendance, publication metrics, citations in scholarly and policy documents, and recommendations by policy-makers. But, quoting a trainer, “at best these are proxies, at worst they are misleading.” Influence then is best seen as a substantive and systemic effort. Rather than a single organisation exerting it, many people and different forces play a role in any impact. Thus, we need common goals and collaborations. Join the School for Thinktankers to have this and many other reflections and discussions. In 2024, the School will run from January 28 to February 3. For more details and to sign up, access this link.안드레아 바틀Andrea BaertlOTT 연구이사 2023 가을호
-
연속기획 디지털 전환과 학제 간 연구를 위한 베를린의 허브현대 과학은 새로운 기술과 디지털화라는 커다란 도전과 질문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를 다학제적 방식으로 조명하기 위해 베를린의 주요 대학과 샤리테(charité) 대학병원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공동 프로젝트로 베를린에 ‘아인슈타인 디지털 미래 센터(Einstein Center Digital Future, ECDF)’를 설립했다. ECDF는 민관 제휴 프로젝트로서 학제 간 장벽을 넘어 디지털 전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산업·정치·사회 분야의 연구 협력을 증진하는 동시에 컴퓨터과학, 엔지니어링, 자연과학, 인문학, 의약학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있다. 2023년 4월까지 3,850만 유로 이상의 기금을 유치하였으며, 40명 이상의 교수를 초빙하여 디지털 인프라, 방법론, 알고리즘, 디지털 보건, 디지털 사회, 디지털 산업 및 서비스 분야의 연구를 집중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전환사회(Transforming Communities), 통합 보건(Integrated Health), 지속가능한 도시변화(Sustainable Cities)에 대해 연구할 예정이다. 구체적 연구로 디지털화로 인한 시장과 조직의 변화, 탄소중립 도시 건설, 합리적인 비용과 안전성을 갖춘 도시 서비스, 진료 과정에서 앱을 통한 의료 의사결정 등이 있다. 이러한 연구 주제들은 다양한 과학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종합적 해결책을 개발해야 한다. ECDF가 강조하는 연구의 자유 독일에서 ECDF가 특별한 이유는 산업계, 과학계, 정치계 등 민관 이해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있을 뿐만 아니라 독일 기본법의 토대인 ‘연구의 자유’를 강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들이 교수 또는 연구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으며 ECDF는 기업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지 않는다. 베를린 중심에 연구 공간을 만들고 학제 간 경계를 넘나드는 열린 교류의 문화를 조성했다. ECDF는 세계 우수한 학자들의 연구를 위한 방문을 환영하고 최고의 대우를 제공한다. 이밖에 ECDF의 미래를 위한 연구 기반을 다지고 있으며 온라인 플랫폼 경제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플랫폼 생태계에 대한 분석과 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플랫폼과 알고리즘의 신뢰도 관련 문제 및 사용자 간의 신뢰, 그리고 온라인 평판 시스템을 통한 신뢰 형성 및 메커니즘의 설계 기법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 중이다. 에어비앤비, 짐라이드, 아마존, 잘란도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을 아우르며, 폭넓고 복잡한 구조 때문에 다학제 간 연구로 설계되는 경우가 많다. 연구 내용은 사용자의 행동 및 심리, 기술적·법적 측면뿐만 아니라 전략적 측면에 대한 조사도 포함한다. 혁명을 일으킬 기술의 변화에 적응하려면 최근 한 프로젝트에서는 AI의 신뢰도와 이 기술을 이끌고 있는 주도 요인 및 통제 방안을 고찰했다. 사람들은 이미 AI와 AI 기반 도구를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앞으로 더 커질 것이다. 사람들이 AI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와 AI를 활용하는 데 실패하는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 무척 중요하다. 챗GPT는 이미 많은 직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그 역할은 엑셀, 위키피디아, 구글만큼이나 대중화되고 있다. 엑셀이 숫자 자료를 처리하는 데 있어 혁명을 일으키고 위키피디아와 구글이 정보 접근성에 혁명을 일으킨 것처럼, 챗GPT와 같은 AI 도구들은 문자 언어를 처리하는 데 혁명을 일으킬 잠재력이 있다. 엑셀, 나이브스나 다른 강력한 AI 도구들처럼 챗GPT 역시 의도치 않은 많은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사람들은 모든 도구의 태생적 편향성, 오류 경향성, 한계를 인지해야 하지만 우리는 아직 AI 기반 챗봇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이러한 도구가 그 강력함만큼이나 유익함을 제공하려면 숙련된 사용자가 필요하므로 대중과 접촉, 교육하고 연구결과를 산업계·정치계·사회에 더 널리 알리는 것 또한 ECDF의 목표이다. Einstein Center Digital Future Berlin's hub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the digital transformation Today’s society faces grand challenges and questions in view of new technology and digitalization. To address on these questions in an interdisciplinary manner, the Einstein Center Digital Future (ECDF) was established in Berlin as a joint project by a consortium of Berlin’s major universities and Charité (university hospital) in spring 2017. It was joined by more than 30 companies, ranging from Amazon, Siemens, to Zalando, as well as scientific research institutions such as the German Aerospace Center Berlin. As a Public-Private-Partnership, ECDF implements a concept for collaborative research in science, industry, politics, and society, fostering interaction among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the natural sciences, humanities, and medicine to tackle these questions beyond silos. For the first period until April 2023, ECDF acquired more than 38.5 million Euros in funding and focused on research in the domains of Digital Infrastructure, Methods and Algorithms, Digital Health, Digital Society, and Digital Industry and Services with more than 40 appointed professors. In July 2022, after a successful evaluation by an international panel of experts, the ECDF received a funding commitment for an extra five years until 2028. “In this second funding phase, ECDF’s aim remains to be an enabler, accelerator, and meeting point for digitalization research in Berlin by thinking outside the box, empowering collaborative research, and pursuing a holistic approach to current and future challenges in the digital world,” explains Prof. Dr. Timm Teubner, member of the ECDF’s Board of Directors. “For this next phase, three research areas have been identified to be at the focus: Transforming Communities reflects our mission of digitalization serving people and impacting everybody; Integrated Health is one of the areas which will be subject to the most revolutionary changes due to digitalization; and Sustainable Cities, where we will be investigating the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sustainable cities and urban transformation,” he adds. Research questions for this next phase include: How does digitalization transform organizations and markets? How can digital technologies help achieve climate-neutral and resilient cities and safe, inclusive, just, and affordable access to their services? How can patients be more involved in medical decision making by using health apps? How is AI being used by people, organizations, and employees – and where are chances, risks, and pitfalls? “These research questions cannot be answered from a purely medical or economic perspective but need the expertise of different scientific fields. This is the only way to develop holistic solutions”, Teubner explains. What makes the ECDF unique in Germany is its combination of public and private stakeholders from industry, science, and the political landscape while – at the same time – it emphasizes the freedom of research, a cornerstone of the German Basic Law. Hence, the involved companies do not exert any direct influence on the professorships or the research, nor does the ECDF conduct contract research for companies. Located in the heart of Berlin, ECDF creates space for research and has established a culture of open exchange across disciplinary boundaries. It is welcoming and hosting excellent researchers from around the world for short-, mid-, and long-term research visits. Dr. Teubner is one of ECDF’s tenured professor, building the center’s research foundation for the upcoming years. The focus of his work is the analysis and the design of digital platform ecosystems (i.e., the online platform economy), in particular questions around trust in platforms and other digital services/algorithms, trust among users, and how platform and mechanism design may support the creation and maintenance of trust (e.g., through online reputation systems). Since this area is broad (i.e., platforms ranging from A(irbnb) to Z(imride), from A(mazon) to Z(alando), …) and complex in all its details at the same time, many of the group’s research projects are interdisciplinary by design. This includes the investigation of user behavior and psychology, technical, legal, as well as strategic aspects. Professor Teubner’s research is primarily based on quantitative approaches, including laboratory and field experiments, structured surveys, network analysis, as well as analysis of secondary data using statistical and data mining methods. A recent project considers trust in AI and the drivers and moderators of this process. Today, people already use AI and AI-based tools on a daily basis and their importance will only grow in the future. “To m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how people use AI and, in particular, how they fail to do so”. Tools like ChatGPT have already had large impact on many job descriptions and their role is as fundamental as the use of Excel, Wikipedia, or Google Search. Just as Excel revolutionized the handling of numerical data and Wikipedia and Google revolutionized our access to information, tools such as ChatGPT have the potential to revolutionize the handling of written language. But: Just like Excel, knives, or any other powerful tool, this may also cause a lot of unintended damage. People need to be aware of any tool’s innate bias, error-proneness, and limitations but what we see with AI-based chatbots right now: they don’t. These tools need proficient users to become as beneficial as they are powerful. ECDF’s mission hence also includes a component of public outreach and education, broadcasting our research to wider audiences in industry, politics, and society.팀 퇴브너(Timm Teubner)아인슈타인센터 교수 2023 가을호
-
연속기획 과학기술계 인력 확보 및 육성 제도저출생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는 의학계 쏠림 현상에 더해지며, 이공계의 위기를 심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위기는 단순한 과학기술인력 부족 문제를 넘어 국가 과학기술력 저하를 야기할 수 있기에 정부와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은 이공계의 핵심 연구인력 확보에 사활을 걸고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가경쟁력을 위해 석학급 인재 발굴이 중요하지만, 그 첫 단추로써 신진연구자가 성장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환경을 지원해주는 방안이 필요하다. 신진연구자 육성과 관련된 제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UST는 과학기술계 출연연이 공동으로 설립한 대학원대학으로서 이론 지식과 연구 현장의 경험·노하우를 함양하는 차별화된 교육을 통한 창의적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 고부가가치 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며 국제경쟁을 갖춘 고급 전문인력을 적극적으로 양성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대두되었다. 정부는 ‘이공계 대학원 중점지원 사업’을 실시하며 대학이 연구중심대학으로 변신할 수 있도록 지원에 나섰지만, 제도적 장치 미흡 등으로 어려움을 겪게 되자 출연연에서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후 연구인력의 확보난과 우수 인력의 대학 유출 현상, 연구원 처우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거론되며 연구기관별로 단설대학원이 설립되었으며, 2002년 「정부 출연 연구 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하 정부출연연법)」이 개정되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가 탄생하였다. UST 캠퍼스는 개별 국가연구소가 그 역할을 하며, 연구소 소속 우수연구원이 교수로 참여한다. 학생은 학생연구원의 신분으로서 사업참여를 통한 교육을 받게 되는 점이 일반 대학과는 차별화된 구성체계라고 할 수 있다. 2023년 10월 현재 32개의 스쿨(캠퍼스)에서 1,475명의 교수와 1,416명의 학생이 함께하고 있다. 다양한 전공과 현장 연구 중심의 강의와 산업 트렌드를 빠르게 캐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 대학원과의 협력 교육을 통해 체계적인 전공 기초 교육에도 소홀함이 없다.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에 선정된 사업에도 UST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산업체와 출연연, 공공기관 등에서 UST의 이름을 빛내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NST는 2009년부터 이공계 분야 일자리 창출과 이공계 전공자에게 출연연 연수를 통한 실무능력 향상 기회를 제공하고자 ‘출연연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공계 인턴십 운영사업’과 ‘박사후연구원 사업’을 수행해오다 현재 ‘박사후연구원 사업’을 중심으로 추진 중이다. ‘출연연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은 이공계 박사 학위 취득 후 5년 이내인 자를 대상으로 과학기술분야 출연연에서 최대 3년*간 현장 R&D 연구기회를 제공한다. ‘출연연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은 신진 박사 학위 취득자가 연구역량을 강화하고 출연연이 우수한 인력을 발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로서 NST가 사업추진계획을 수립하는 등 총괄관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각 연구기관은 사업추진계획에 따라 박사후연구원을 선발하여 연수기획 제공, 복무관리 등의 세부사항을 이행하게 된다. 이 외에도 NST는 출연연 박사후연구원의 우수한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신진연구자 간 교류 협력 활성화를 위해 ‘신진연구자 간 연구성과교류회(박사후연구원 연수성과교류회)’를 매년 개최한다. 차별화되고 내실 있는 전략을 통해 신진연구자가 창의적이고 독립적인 연구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연수성과 공모전을 실시하고 있다. 교류회는 특별강연, 포닥 경력개발, 선배와의 오픈톡, 공모전 수상자 발표로 구성되며, 박사후연구원의 경력개발과 네트워크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2022년까지 2년이었던 기간이 2023년까지 3년으로 지원기간이 확대되었다. 맞춤형 인력지원 직무훈련 추진목적 출연연 R&D 인프라를 기반으로 이공계 신진 박사 학위 취득자에게 소관 출연연에서의 R&D 연수기회 제공 추진내용 신진연구자로 성장을 위한 안정적 인건비 및 연구역량 경력개발 프로그램 등 지원(인건비 1인당 60백만 원/년2023 가을호
최근호 보기 총 36 건
연속기획 한-아프리카 상생발전과 개발협력 방안 김은주과학기술정책연구원 글로벌혁신전략연구본부 책임연구원 | 2023 겨울호 |
연속기획 지속가능한 협력생태계 조성을 위한 국제협력 이지예경제·인문사회연구회 연구기획부장 | 2023 겨울호 |
연속기획 지역의 미래를 여는 광주정책연구회 출범 최치국광주연구원 원장 | 2023 겨울호 |
연속기획 디지털 전환을 위한 세계, 대한민국, 그리고 연구회의 준비 최재녕경제·인문사회연구회 디지털전환추진단 부단장 | 2023 겨울호 |
연속기획 리딩 싱크탱크로 도약을 위한 국가연구체제의 발전 전략 제안 김권식중소벤처기업연구원 창업벤처연구실 연구위원 | 2023 겨울호 |
연속기획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5년의 회고와 전망 김인수대구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조교수 | 2023 겨울호 |
연속기획 복합위기와 대전환의 시대, 미래 비전 그리는 국가 싱크탱크 역할 해야 <인터뷰> 정해구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 2023 겨울호 |
연속기획 과학기술계 인력 확보 및 육성 제도 | 2023 가을호 |
연속기획 디지털 전환과 학제 간 연구를 위한 베를린의 허브 팀 퇴브너(Timm Teubner)아인슈타인센터 교수 | 2023 가을호 |
연속기획 싱크탱커를 위한 학교 안드레아 바틀Andrea BaertlOTT 연구이사 | 2023 가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