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칼럼
세계 ‘인구절벽’ 논쟁의 중심에 동아시아 국가가 서 있다. 그중에서도 대한민국은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절벽’이 진행되고 있는 국가이다.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2018년 1명 이하로 하락한 이후 2022년 0.78명에 그치고 있다. 인구 천 명당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조출생률은 4.9명, 인구 천 명당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조사망률은 7.3명으로 인구 자연 증가율은 2020년 부터 줄곧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특별좌담>에서는 1980년대 이후부터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관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나 왜 아직까지 효과를 보이고 있지 않은지, 대한민국에서 유독 출산율이 저조한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번에는 효과를 발휘할 정책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구정책연구단은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제 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수정계획(2021~2025)」의 지원을 포함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의 효과적인 저출산 정책 추진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살펴본다.
2021년 겨울호부터 2022년 가을호까지 연속기획 I, II 시리즈를 통해 세계의 싱크탱크와 국가정책연구 역사를 살펴보았다. 이번 <연속기획 “99년 연구회 체제”를 넘어>는 2022년 겨울호 ‘싱크탱크와 국제협력’, 2023년 봄호 ‘싱크탱크와 지역 협업’을 주제로 연구회 체제하에서 국책연구기관이 앞으로 추구해야 할 변화에 대해 고민을 이어오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싱크탱크와 디지털 전환’을 통해 디지털 혁명이라는 환경 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국책연구기관은 어떤 혁신을 이루어야 하는지 살펴본다.
디지털 전환은 다양한 산업 환경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미래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나아가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올해 초,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에서 디지털플랫폼정부는 대한민국뿐 아니라 전 세계 국가의 미래 정부 모델이자 국가전략산업이라며 그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정책 연구분야에서도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의 활용은 불가피하다. 정책지식 생태계의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다. 이에 걸맞은 ‘혁신’이 요구되고 있는 현시점, 대한민국 정책지식 생태계를 선도하기 위해 경제·인문사회연구회와 국책연구기관은 어디에서부터, 어디부터, 무엇부터, 어떻게, 무엇을 진화해야 하는지 알아본다.
최근호 보기 총 11 건
포커스 칼럼 아동 인권과 글로벌 인도주의 위기 오준한국아동단체협의회 회장(前유엔 대사) | 2024 가을호 |
포커스 칼럼 글로벌 통상 중추국가 전략과 국책 싱크탱크의 역할 정인교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 2024 여름호 |
포커스 칼럼 경제·인문사회연구회와 국가적 과제 신동천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 2024 봄호 |
포커스 칼럼 불확실한 미래, 미래창발적 비전을 갖자 임현진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2023 겨울호 |
포커스 칼럼 21세기 지성공동체, ‘하회과학자마을’ 이철우경상북도지사 | 2023 가을호 |
포커스 칼럼 선행학습과 간척사업 최재경고등과학원 원장 | 2023 봄호 |
포커스 칼럼 ‘글로벌 아시아시대’ 사회과학의 도전 박영렬한국사회과학협의회 회장, 연세대학교 교수 | 2022 겨울호 |
포커스 칼럼 인공지능(AI) 시대의 휴머니즘 이광형KAIST 총장 | 2022 가을호 |
포커스 칼럼 범정권·범부처 국가 싱크탱크가 필요하다 황윤원중원대학교 총장 | 2022 봄호 |
포커스 칼럼 코로나19가 초래한 도전과 K-ODA의 역할 구윤철국무조정실장 | 2021 겨울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