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FOCUS 여름 향기 물씬한 세종 전통문화체험관오는 8월 9일, 세종 전통문화체험관이 개관한 지 1주년이 되는 날이다. 뜨거운 여름날, 개관 준비하느라 흘린 비지땀을 개관식 날 내린 비가 맑게 씻어주었던 기억이 또렷하다. 개관 이후 1년간 세종 전통문화체험관은 늘 변신을 거듭했다. 세종 시내가 한눈에 들어오는 선다실에서부터 나무 냄새가 물씬 풍기는 명상체험실, 세종시 각종 기관의 회의와 프로그램이 펼쳐졌던 문화체험실과 1층의 체험공간들까지, 전시가 변하고 프로그램이 변하고 계절따라 전월산이 색깔을 달리하며 날마다 수채화를 그려주었다. 가족이 함께 오기 좋은 세종 전통문화체험관 세종 전통문화체험관에는 많은 가족 방문객이 찾는다. 그래서 체험관은 무엇보다 가족방문객을 위한 준비에 진심이다. 자연의 향취가 가득한 명상체험실에서 진행하는 요가, 명상, 다도 체험부터, 스트레스를 날리는 난타 체험과 노래 교실, 내 손으로 작은 소품을 만드는 바느질· 자수 등의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어린이열람실뿐만 아니라 아이들을 위한 전통놀이 체험공간도 곧잘 준비해두고 있다. 아이들이 즐겁게 노는 동안 부모는 아이들을 보면서 차 한 잔을 즐길 수 있는 1층 공간의 배려가 돋보인다. 이번 여름은 세종 전통문화체험관에서 세종 전통문화체험관은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요리 프로그램을 늘 중심에 두고 있다. 자연식과 약선 요리를 통해 덜 가공한 건강한 식재료와 약이 되는 식재료를 활용하여 우리 몸을 보살피는 식단을 배울 수 있다. 전통 간식 만들기를 통해 가족이 함께 옛 추억을 공유하고 문화의 세대 전승과 세대 공감에 기여하고자 한다. 특히 7월 29일에는 사찰음식 명장 선재스님을 모시고 여름에 나는 제철 식재료를 이용하여 몸에 약이 되는 김치를 담그는 특강을 진행한다. 사찰음식 명장을 직접 만나기도 쉽지 않은데, 함께 음식을 만들면서 배우는 기회라니 귀하고 특별하다. 무더운 여름날, 순간의 즐거움에 건강을 양보하는 콜라와 사이다보다는 살얼음이 덮인 식혜와 수정과로 더위를 식히는 느낌, 세종 전통문화체험관은 그런 느낌으로 우리 곁에 열려있다.배권두세종 전통문화체험관 홍보 주임 2023 여름호
-
내 마음의 들꽃 산책 여름, 수국의 계절01. 제주에 핀 수국 수국의 계절입니다. 우리나라 곳곳에서 수국이 아름다운 정원들을 만날 수 있게 되어 반갑고 행복합니다. 숲속에서 혹은 숲가에서 혹은 물가에서 피어나는, 그저 아름다움에서 그치지 않고 신비롭기까지 한 남보랏빛 산수국, 화려하면서도 품격 있고 한여름에 피면서도 시원스러운 산수국, 그리고 잘 알고 계시는 수국에 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02. 산수국꽃, 03. 산수국 두 가지 꽃으로 이뤄진 산수국 산수국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라는 작은 키 나무입니다. 한여름, 7~8월에 피어나는 꽃을 보면 새로 난 가지 끝에 접시를 엎어놓은 듯 둥글고 큰 꽃차례(산방화서)가 보입니다. 자세히 보면 꽃차례 안쪽에는 꽃잎은 퇴화하고 암술과 수술이 발달한 작은 꽃들인 유성화(有性花)가 달리고, 가장자리에는 지름 1~3cm 정도의 꽃잎만으로 구성된 무성화(無性花)가 달립니다. 산수국이 두 가지 종류의 꽃을 함께 가지는 이유는 역할을 분담하여 효율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가장자리 무성화는 곤충을 유인하는 역할을 하고, 그들을 보고 찾아온 곤충들에 의한 수분 매개는 안쪽에 있는 유성화에서 이루어집니다. 당연히 씨앗도 유성화만 맺을 수 있지요. 그렇다면 꽃송이가 탐스러운 수국은 어찌된 일일까요? 사람들 눈에 화려하게 보이기 위해 유성화를 모두 무성화로 바꾸어 개량한, 말하자면 보기는 화려하지만, 실제 꽃의 역할인 결실을 하지 못하는 꽃인 셈입니다. 세계적으로 워낙 사랑받는 정원 식물이어서 꽃색 혹은 꽃잎의 모양에 따라 수백 가지의 품종이 나와 있습니다. 여름 산행에서 우연히 마주칠 행복 산수국은 한자로 ‘山水菊’으로 씁니다. 말 그대로 산에서 피는, 그리고 물을 좋아하는 국화처럼 풍성하고 아름다운 꽃이어서 붙은 이름입니다. 독특한 일은 개체마다 조금씩 꽃잎 색깔이 다른데 흰색으로 피기 시작했던 꽃들은 점차 시원한 청색이 되고 다시 붉은 기운을 담기 시작해 나중에는 자색으로 변화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또 토양 조건에 따라 토양의 알칼리 성분이 강하면 분홍빛이 진해지고 산성이 강해지면 남색이 더욱더 강해지니 신비스럽기도 하고 어렵기도합니다. 그래서인지 이 꽃의 꽃말도 변하기 쉬운 마음입니다. 다양한 수국들은 보통 정원에 많이 심지만 큰 나무 그늘이 있는 숲 정원에는 산수국이 제격입니다. 한방에서는 수국류를 수구화(繡毬花) 또는 팔선화(八仙花)라고도 부르며 뿌리와 잎과 꽃 모두를 약재로 씁니다.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세에 처방하고 열을 내리는 데도 많이 쓰인다네요. 산수국잎을 햇볕에 잘 말리고 잘 덖어 비비면 단맛이 나서 ‘감로차’라는 이름으로 이용하기도 합니다. 쉽게 만나고자 하시면 국립세종수목원에도 물론 있지만, 자매 식물원인 한국자생식물원에는 보기만 해도 기분 좋아지는 좋은 군락이 있습니다. 여름날 떠난 산행에서 우연히 마주친 산수국이 여러분에게 행복이 되길 기원해 봅니다.이유미국립세종수목원 원장 2023 여름호
최근호 보기 총 12 건
세종FOCUS특별한 하루를 만나러 오세요 권세현세종시문화재단 공연장운영팀 대리 | 2023 봄호 |
내 마음의 들꽃 산책향기로운 붓꽃에서 영감과 위로를 이유미국립세종수목원 원장 | 2023 봄호 |
세종FOCUS겨울에도 초록빛이 무성한 곳 최민지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홍보소통팀 주임 | 2022 겨울호 |
내 마음의 들꽃 산책꽃으로 드리는 새해 인사 이유미국립세종수목원 원장 | 2022 겨울호 |
세종FOCUS국책연구단지가 움직이는 날에 여는 ‘카페’ 김민엽세종성요한바오로2세 성당 주임신부 | 2022 가을호 |
세종FOCUS세종 호수공원의 ‘여름’ : 은빛해변과 물놀이섬 전민선경제·인문사회연구회 성과확산부 부전문위원 | 2022 여름호 |
디지털 공공소통고객 여정을 고려한 소통의 중요성 김정렴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디지털소통기획과장 | 2021 겨울호 |
이용어'친환경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그린플레이션Greenflation 김인철前 한국개발연구원 | 2021 겨울호 |
문화야 놀자하늘이 다시 열리면 우리의 여행은? 이명석문화평론가 | 2021 겨울호 |
디지털 공공소통꾸준한 콘텐츠 제공으로 행동을 변화하는 디지털 캠페인 김정렴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디지털소통기획과장 | 2021 가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