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에서 정책으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과 국가의 조화로운 발전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에 서 있다. 이번 특집은 지역 균형발전의 주요 과제를 분석하고, 경제·환경·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정책과제를 알아본다.

2024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0.75명을 기록한 가운데 9년 만에 반등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전 세계적인 추세를 고려할 경우, 이는 여전히 낮은 수치로 인구위기는 해소되지 않은 정책과제로 남아있다. 출산율 회복을 위한 골든타임, 연간기획에서는 이러한 시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을 위한 인구위기의 정책적 대응과 해법을 모색한다.
최근호 보기 총 21 건
연구에서 정책으로 클러스터 정책의 새로운 모색, 플랫폼 기반의 혁신생태계 강화 김선배산업연구원 지역산업·입지실 선임연구위원 | 2024 겨울호 |
연구에서 정책으로 국책연구기관에서 35년, 00까지 해봤다 이상건국토연구원 글로벌개발협력센터 선임연구위원 | 2024 겨울호 |
연구에서 정책으로 연구에서 현장까지 : 스마트항만과 해상물류의 혁신 20년 이언경한국해양수산개발원 물류·해사산업연구본부장 | 2024 가을호 |
연구에서 정책으로 지방 소도시화를 막기 위한 대안 박정은국토연구원 도시재생·정비연구센터 연구위원 | 2024 여름호 |
연구에서 정책으로 레그네비게이터, 원클릭 규제검색 서비스 황하한국행정연구원 인공지능규제TF장 | 2024 여름호 |
연구에서 정책으로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향한 도전 고영선한국개발연구원 연구부원장 | 2023 겨울호 |
연구에서 정책으로 과학기술혁신 정책을 현실로 만드는 기쁨 임덕순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2023 겨울호 |
연구에서 정책으로 2023년도 하반기 연구공로장 포상식 <연구공로장 포상식> | 2023 겨울호 |
연구에서 정책으로 고객이 ‘호갱’이 되는 휴대폰 시장, 해결책은 없는가? 김민철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신전파연구본부장 | 2023 가을호 |
연구에서 정책으로 2023년도 상반기 연구공로장 포상 | 2023 여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