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상세보기 화면

협동연구보고서

지역 관광 자원과 혁신 모빌리티 융복합 서비스 도입 전략 연구

  • 국가비전과 전략연구
  • 위원회 및 연구단
지역 관광 자원과 혁신 모빌리티 융복합 서비스 도입 전략 연구 대표이미지
  • 주관한국교통연구원
  • 발행기관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 발간년도 2023년
  • 페이지수385
  • 연구자김희경

주요내용


요약/내용

국내 관광여행은 30-40대를 중심으로 가족여행 형태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다가 최근에는 20대와 50대 이상의 참여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가족여행에서는 승용차의 의존성이 매우 높았으나 최근 유입되는 신규 참여자는 승용차의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그럼에도 지방지역의 대중교통 서비스가 열악하고 더욱이 대중교통을 이용한 관광지 연결성은 더욱 낙후되어 승용차 이용 비중은 여전히 높다. 그런데 최근 여행 패턴의 또다른 변화로 주말을 포함한 단기여행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이는 주말 고속도로 교통체증과 맞물려 대도시 여행수요의 지방지역 확산에 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지방지역에서 대중교통을 대체하여 관광수요 특성에 맞게 이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승용차 교통수단의 필요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외에서 미래성장 동력으로 중요도가 높아지고 글로벌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는 모빌리티를 관광분야에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관광자원과 모빌리티간에 물리적·화학적 결합을 통해 기존 서비스를 개선하고 또한 새로운 형태의 융복합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융복합 서비스의 전략적 목표는 지역관광 자원의 매력도를 향상시키고 혁신 모빌리티의 도입 효과를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가지 추진전략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는 지역관광 특화 모빌리티 규제허용 및 활성화 전략이다. 이는 최근 다양한 방식으로 도입이 검토되고 있거나 예상되는 모빌리티 서비스를 지역관광에 공급하기 위해 관광에 특화하여 규제를 부분적으로 허용하고 이용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안을 포함한다. 개인형 이동수단, 수요응답형 교통수단, 승차공유 서비스 및 통합교통 서비스 등을 대상으로 규제 허용 추진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는 통합 플랫폼을 활용한 융복합 서비스 활성화 전략이다. 이용자 편리성 개선을 위해 스마트관광 서비스와 모빌리티 서비스의 공통되는 서비스 형태인 플랫폼 서비스는 서비스 방식에서 상호 유사성이 높다. 따라서 관광과 모빌리티의 플랫폼 서비스 통합을 통해 관광객의 편의성을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지역관광 상품과 모빌리티 상품의 화학적 결합 환경을 구축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생태계로의 유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 플랫폼의 추진방식, 단계별 서비스 체계, 도입기반 구축방향 및 활용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는 이동 중 레저/체험/놀이 기반 융복합 서비스 활성화 전략이다. 관광교통의 일환으로 케이블카나 관광열차 등이 존재하나 이들의 경우는 대부분 단독으로 왕복운행 방식이어서 다음 관광을 위해서는 다시 이동을 필요로 한다. 이때 관광지간에 단순 이동은 지루함과 피로 등을 유발하여 해당 관광지 또는 관광자원군의 매력도를 저하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지역내 다수의 관광지가 위치하는 경우 관광지간 이동시 즐거운 체험과 놀이 등을 제공하기 위한 추진방안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관광자원과 혁신 모빌리티 융복합 서비스 도입에 따른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융복합 서비스 도입 및 활성화 전략을 마련할 때 지역별 관광지 특성을 고려해야 하며, 기존 교통수단 이용자들에 따라 차별적으로 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기존 지역간 이동을 위한 대중교통수단은 비교적 잘 갖춰져 있으나, 관광지내의 대중교통수단 서비스가 미흡한 곳에 혁신 모빌리티 융복합 서비스를 우선 도입하는 경우에 효과가 높았다. 혁신 모빌리티 융복합 서비스 도입에 대한 추가 세금 지불의사액이 수도권과 지역이 다른 것으로 나타나 쇠퇴지역에서는 국가가 혁신 모빌리티 융복합 서비스 도입을 위한 비용 보조의 필요성을 보였다.

키워드 : 지역 관광 자원, 모빌리티, 융복합 서비스, 관광교통, 스마트관광, 플랫폼 서비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개요
제2절 연구의 수행방법
제3절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제2장 관광교통 및 모빌리티 서비스 현황 분석
제1절 관광교통 개념 및 현황 검토
제2절 모빌리티 서비스 현황 및 문제점, 관광적용 사례
제3절 체험형 교통수단 현황 및 한계점
제4절 관광 서비스 현황 및 한계점
제3장 관광교통 서비스 이용자 요구사항 및 관광교통 이해관계자 심층 인터뷰
제1절 관광교통 서비스 요구사항 조사
제2절 관광교통 이해관계자 심층 인터뷰
제3절 시사점
제4장 지역 관광자원과 혁신 모빌리티 융복합 서비스 도입 전략
제1절 융복합 서비스 도입 필요성 및 개념 정립
제2절 지역 관광자원과 혁신 모빌리티 융복합 서비스 도입 전략
제5장 지역 관광자원과 혁신 모빌리티 융복합서비스 도입에 따른 효과 분석
제1절 혁신 모빌리티 효과분석 방향
제2절 관련 문헌 검토
제3절 융복합 서비스 도입 효과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내용 및 방법론
제4절 혁신 모빌리티 융복합 서비스 도입 효과 분석
제5절 시사점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제1절 결론
제2절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