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상세보기 화면

협동연구보고서

지역단위 삶의 질 진단과 정책혁신 방안 연구

  • 국가비전과 전략연구
  • 위원회 및 연구단
압축파일 다운로드
지역단위 삶의 질 진단과 정책혁신 방안 연구 대표이미지
  • 주관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발행기관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 발간년도 2020년
  • 페이지수170
  • 연구자정해식

주요내용


요약/내용

정부는 경제력 수준에 걸 맞는 삶의 질 수준 확보를 정책 목표로 제시하였다. 이
에 발맞춰 한국의 낮은 삶의 질 원인을 진단하는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한국의
삶의 질 수준을 영역별로 진단하면 취약 영역이 두드러진다는 점, 지표별로 진단하
면 주관적 인식 수준에서 확인된 삶의 질이 크게 나쁘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 중 주관적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정책의 상당수가 지방자치단체 단위에서 결
정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고려가 특별
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지역단위로 삶의 질을 진단하고, 이를 활용한 정책
방안을 수립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지역의 삶의 질을 국내 및 국외 비교가 가능하도록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의 더 나은 삶 지수(BLI) 체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삶의 질을 구성하는
하위 지표에는 조사, 행정자료로 측정하는 지역단위의 지표를 사용하였다. 또한 지
역 수준에서 국민들이 인식하는 주관적 인식 지표를 활용하고자 「지역 삶의 질 실
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는 지역 주민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거버넌스에
대한 인식 및 지표를 포함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지역단위 지표 체계를 이용하여 지역의 삶의 질 특징을 파악하였
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 정책 수립의 필요를 실증 사례를 통해 제기하였다. 이러
한 사례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삶의 질을 정책 목표로 설정하고자 할 때, 하나의 범
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외 많은 정부에서 정책 실행 과정에 웰빙을 주제로 놓고 있다. 개별 지자체
를 단위로 하는 삶의 질 진단은 정책 실행과정에서 ‘삶의 질’을 중심에 놓도록 전환
하기 위한 한 시도이다. 이러한 시도가 실질적으로 정책화되기 위해서 지역단위 삶
의 질 모니터링이 계속되어야 하며, 이를 활용하는 우수사례의 개발에 주력할 필요
가 있다.

목차

Ⅰ. 서론 ···························································1
제1절 문제 제기 ····················································3
제2절 연구 내용 ····················································7
1. 연구 설계 및 개요 ·····················································7
2. 주요 수행 과제 ························································8
3. 연구 추진 방법 ·······················································1
Ⅱ. 선행연구 검토: 삶의 질과 지역 ···································31
제1절 삶의 질 국제비교와 국내 진단 사례····························5·1
1. 삶의 질 국제비교 ·····················································15
2. 우리나라의 지역별 삶의 질 수준 연구 ···································2·2
제2절 지역단위 삶의 질 측정과 활용의 해외사례······················8·2
1. OECD의 보다 나은 삶의 질 지수(BLI) 개선 계획 ························8···2
2. OECD BLI의 확장: 지역 웰빙(Regional Well-being) ·····················1····3
3. 삶의 질 지표를 이용한 정책 사례 ·······································43
제3절 지역단위 삶의 질과 지방정부 거버넌스·························5·4
1. 지방정부 거버넌스 개념 논의 맥락 ······································5·4
2. 지방정부 거버넌스의 구성개념 논의 ·····································7·4
3. 지방정부 거버넌스와 삶의 질에 관한 선행연구와 이 연구의 거버넌스 측정지9표 ·4
제4절 소결 ·······················································60
목차
경제인문사회연구회
Ⅲ. 지역 삶의 질 측정을 위한 자료수집·······························36
제1절 지역단위 삶의 질 측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DB) 구축··········5··6
제2절 지역 삶의 질 실태조사········································17
1. 지역 삶의 질 실태조사 개요 및 수행 ····································1·7
2. 삶의 질 인식 현황 분석 ················································87
제3절 지역 삶의 질 여건 통계 DB 구축······························48
1. 지역 삶의 질 측정을 위한 통계자료 수집 ·······························4··8
2. 삶의 질 여건 현황 진단 ················································29
제4절 지역 삶의 질과 지방정부 거버넌스 ·····························59
1. 지방정부 거버넌스 현황 분석 ···········································59
2. 지방정부 거버넌스와 삶의 질의 관계 ····································211
제5절 소결 ······················································116
Ⅳ. 지역단위 삶의 질 진단과 활용 ···································19
제1절 지역단위 삶의 질 지표별 진단 ································121
1. 주거 ·······························································121
2. 소득 ·······························································123
3. 노동 ·······························································125
4. 공동체 ·····························································127
5. 교육 ·······························································128
6. 환경 ·······························································130
7. 시민참여 ···························································132
8. 건강 ·······························································133
9. 삶의 만족 ··························································135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