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일시2024-11-21 14:12
- 조회수975
보도자료
대한민국 미래를 선도하는 국가정책연구의 허브
- 보도일시 배포 즉시
- 배포 일시 2024. 11. 21.(목) 13:00
- 담당 부서 연구기획본부 연구네트워크부
- 책임자 부장 이진형 (044-211-1180)
- 담당자 전문위원 박양하 (044-211-1182)
제5회 NRC-KAIST 공동심포지엄 개최- 뇌과학과 사회과학연구 혁신 -
- · 행사명 : 제5회 NRC-KAIST 공동심포지엄
- · 일 시 : 2024년 11월 20일(수) 14:00-17:00
- · 장 소 : 세종국책연구단지 대강당
- · 주 관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센터
-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이사장 신동천, 이하 NRC)는 11월 20일(수)에 KAIST(총장 이광형) 디지털인문사회과학센터와 공동 주관으로 제5 회 NRC-KAIST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 이번 공동 심포지엄의 주제는 “뇌과학과 사회과학연구 혁신”이며, 이경면 교수(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센터장)의 사회로 신동천 NRC 이사장의 개회사와 이광형 KAIST 총장(정재민 인문사회과학장 대독)의 환영사로 시작하여 기조강연과 주제발제, 패널토의로 진행되었다. 개회사에서 신동천 이사장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복합적이고 도전적인 과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학문 간 경계를 넘어
- 서는 교류와 협력이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간의 의사결정과 행동양식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는 뇌과학과 사회과학에 대한 이번 논의가 효과적인 정책 수립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말하였다. 이광형 총장(정재민 인문사회과학장 대독)은 환영사에서 인간의 행동을 연구하는 뇌과학과 인간 사회와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사회과학이라는 중요한 두 분야의 융합연구에 혁신적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학계와 정책연구자들이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논의에 참여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이후에는 정재승 교수(KAIST 뇌인지과학과, 융합인재학부장)의 기조 강연과 최승주 교수(서울대 경제학부), 최민영 선임연구위원(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주제 발표가 이어졌다. 정재승 교수는 “뇌인지과학은 사회현상에 어떤 통찰을 제공할 수 있는가?”라는 기조 강연에서 뇌과학과 인공지능 시대는 21세기 인문사회과학의 새로운 흐름이며, 근거기반 연구, 무가설 접근과 같은 연구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하였다. 더불어 새로운 시대의 윤리나 기후 문제와 같은 난제 해결에 뇌과학과 인문사회과학, 데이터기반 의사 결정 기술이 융합한다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학술연구 관점에서의 사례 발표를 맡은 최승주 교수는 “사회과학연구 혁신: 합리성에 대한 대규모 실험 연구”라는 제목의 주제 발제를 통해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의 합리적 의사결정과 전략적 사고에 대한 관련성을 설명하는 요인인 ‘경제적 합리성’에 대해 소개하고 뇌과학적 관점의 탐구를 통해 향상된 인지적 기술이 경제적 합리성과 의사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 설명하였다. “신경윤리와 법 : 가이드라인과 가상사례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정책연구 관점에서의 사례 발표를 맡은 최민영 선임연구위원은 신경과학과 뇌과학이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설명하면서 신경기술의 발전에 따라 뇌과학에 대한 정책연구의 중요성과 방향성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피력하였으며, 실제 연구한 가이드라인과 구체적인 가상사례 발표를 통해 청중의 이해를 도모하였다.
- 주제 강연 후 이경면 교수의 사회로 김준형 교수(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와 이명화 연구위원(과학기술정책연구원), 주제발표자 간 토론이 진행되었다. 김준형 교수는 인간의 행동에 대한 연구 방법이 최근 경제학 분야에서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다양한 학제와 연구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 교환을 통해 단편적인 결과 도출의 실수를 보완해 갈 수 있다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이명화 연구위원은 뇌연구촉진법에 대한 소개와 정부가 운영 중인 5차에 걸친 뇌연구촉진기본계획 수립 과정을 소개하면서 청중에 이해와 관심을 도모하였으며, 향후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의 소통을 강조하였다. * 유튜브 경제‧인문사회연구회 LIVE 채널을 통해 녹화 영상을 시청할 수 있음.
<붙임1> 「제5회 NRC-KAIST 공동 심포지엄」 포스터(프로그램)
<붙임2> 「제5회 NRC-KAIST 공동 심포지엄」 행사사진. 끝.
제5회 NRC-KAIST 공동심포지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DHCSS
- [기조연설] 정재승 교수
- [주제발제] 최승주 교수
- [주제발제] 최민영 선임연구위원
뇌과학과 사회과학연구 혁신
세부일정 youtube 생중계 병행 예정
사회: 이경면 센터장(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센터)
시간 | 구분 | 내용 |
---|---|---|
14:00-14:10 | 개회사 | 신동천 이사장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14:10-14:20 | 환영사 | 이광형 총장(KAIST) |
14:20~15:00 | 기조강연 | 뇌인지과학은 사회현상에 어떤 통찰을 제공할 수 있는가? 연사: 정재승 교수(KAIST 뇌인지과학과 융합인재학부 학부장) |
15:00-15:10 | 휴식 및 기념촬영 | |
15:10-15:40 | 주제발표 1 | 사회과학연구혁신 : 합리성에 대한 대규모 실험 연구 연사: 최승주 교수(서울대 경제학부) |
15:40-16:10 | 주제발표 | 신경윤리와 법: 가이드라인과 가상사례를 중심으로 연사: 최민영 선임연구위원(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
16:10-16:20 휴식 | ||
16:20-17:00 | 패널토의 | -사회 이경면 센터장(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센터) -패널 김준형 교수(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이명화 연구위원(과학기술정책연구원) 최인영 선임연구위원(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최승주 2수(서울대 경제학부) |
매회 |
*상기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붙임 2 「제5회 NRC-KAIST 공동 심포지엄 행사사진
경제·인문사회연구회(NRC, 이사장 신동천)와 KAIST(총장 이광형)가 공동 주관하는 "뇌과학과 사회과학연구 혁신" 주제의 제5회 NRC-KAIST 공동 심포지엄이 2024년 11월 20일(수) 오후 세종국책연 구단지 대강당에서 온·오프라인으로 개최되었다. 왼쪽부터 이경면 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센터장, 이명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 위원, 김준형 KASIT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교수, 전봉관 KAIST 디 지털인문사회과학부장, 신동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정재민 KAIST 인문사회과학학장, 정재승 KAIST 뇌인지공학과 교수, 최민영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한국노동연구원 허재준 원 장, 최승주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윤두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연구 지원본부장.
경제·인문사회연구회(NRC, 이사장 신동천)와 KAIST(총장 이광형)가 공동 주관하는 "뇌과학과 사회과학연구 혁신" 주제의 제5회 NRC-KAIST 공동 심포지엄이 2024년 11월 20일(수) 오후 세종국책연 구단지 대강당에서 온·오프라인으로 개최되었다. 신동천 경제·인문사 회연구회 이사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
[보도자료] 제5회 NRC-KAIST 공동 심포지엄 개최.hwp (66.73MB) 다운로드
-
[보도자료] 제5회 NRC-KAIST 공동 심포지엄 개최.pdf (832.12KB)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