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전략연구종합적 국가발전을 위한 비전과 정책 대안을 제시합니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혁신전략
NRC 혁신전략(2024-2027)
[글로벌이슈브리핑 Vol.192] 美, 중국 조선업 견제 본격화··韓 조선 기회되나?
[글로벌이슈브리핑 Vol.192] 美, 중국 조선업 견제 본격화··韓 조선 기회되나?
NRC 국내·외 정책연구동향 Vol.4
NRC 국내·외 정책연구동향 Vol.4
![[NRC NOW] 🤖 AI 시대, 중국은 어떻게 강국이 되었을까? | 국내·외 정책연구동향 VOL.4 관련 이미지](/attachFiles/maincntnts/thm_175124291466400.png)
[NRC NOW] 🤖 AI 시대, 중국은 어떻게 강국이 되었을까? | 국내·외 정책연구동향 VOL.4
🚨 To. 최초 AI 수석님, 중국에서 배워야 할 것들 입니다.
대한민국에 'AI 수석'이 처음 등장했습니다. AI 시대, 정말 이제부터 시작일까요?
중국은 이미 국가 차원의 전략으로 AI를 밀어붙였고, 그 중심엔 ‘규제가 아닌 밀어주는 정책’이 있었습니다.
🚀 항저우는 어떻게 중국 AI 제 1도시로 불리게 되었을까요? 🚀 중국은 어떻게 인재와 스타트업을 끌어모았을까요?
✅ 규제 샌드박스 확대 ✅ AI 특화 장학금 ✅ 연산력 지원 정책 ✅ 국제 협력으로 대형 AI 모델까지! 대한민국도 이제는 ‘규제 중심’에서 ‘혁신 중심’으로 바꿔야 할 때 입니다. ‘‘
본 영상은 AI를 활용하여 제작한 국책연구기관 연구결과 홍보 영상입니다.’’
[NRC NOW] 사는 곳은 아니지만, 사는 사람들 🏙 - 생활등록제가 필요한 이유 | 국내·외정책연구동향VOL.4
저는 이곳에서 일하고, 소비하고, 살아가지만, 이 지역의 주민은 아닙니다.
주민등록이 이곳에 되어 있지 않다는 이유로, 공공서비스 이용이 어렵습니다. 바로, 제도 밖의 사람들, ‘체류형 생활인구’를 말하죠.
국토연구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생활등록제’ 도입을 제안합니다.
📍 생활등록제는 주민등록과 별도로, 주소지 외에 일상적으로 활동하는 지역에 ‘생활등록’을 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국민의 80.2%, 지자체의 64.7%가 🏡 활동지역 중심 서비스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사는 곳’이 아닌, ‘사는 방식’에 맞춘 정책이 필요합니다.
‘‘본 영상은 AI를 활용하여 제작한 국책연구기관 연구결과 홍보 영상입니다.’’ 👉 자세한 내용은 연구보고서 또는 NKIS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댓글에 링크 있습니다.) http://www.nkis.re.kr https://www.nkis.re.kr/subject_view1.do?otpId=OTP_0000000000016125&otpSeq=0 https://www.nkis.re.kr/subject_view3.do?volId=IPVOL000000000010349&articleSeq=1
#생활등록제 #체류형생활인구 #인구감소지역 #국토연구원 #공공서비스 #주민등록제도 #생활인구 #지방정책 #정책제안 #지역맞춤형정책 #이동인구 #행정서비스 #사는방식 #생활기반정책 #지역균형발전
행사일정
D-2
『보건사회연구』 편집위원회
2025년 『보건사회연구』 인사이트 포럼
2025-07-08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19층)
첨부파일이 포함된 게시물입니다.
D-4
한국교통연구원
[토론회] 새정부에 바란다. 국가 교통물류 정책 대토론회 개최
2025-07-10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
첨부파일이 포함된 게시물입니다.
D-4
과학기술정책연구원·한국직업능력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한국직업능력연구원 공동정책포럼 「AI 시대,인재의 조건과정책을 다시 묻다」
2025-07-10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
첨부파일이 포함된 게시물입니다.
D-106
2025 여수해양법아카데미 초청연수
2025-10-20
여수시청소년해양교육원 등
첨부파일이 포함된 게시물입니다.
행사일정 더보기